특정 URI로 요청시 Controller로 가로채는 요청을 말하며, 스프링의 모든 객체에서 접근이 가능하다. 주로 로그인 처리에 사용하며 interceptor를 이용하여 세션에 로그인 정보가 있는지 확인한다면 로그인 체그에 대한 중복처리를 줄일 수 있다.
HTTP : TCP/IP( 신뢰성, 보장 ) <--> UDP ( 보장 X )
- TCP/IP는 패킷에 대한 보장이 된다. -- 패킷에 대한 내용이 끝까지 전송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 손실이 일어나지 않도록 확인하는 알고리즘까지 포함하고 있다.
HTTP 프로토콜은 2명 이상의 클라이언트가 통신을 주고 받으려는 형태를 이루고 있다.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Request를 보내면 Response가 서버로 부터 온다.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 가는 Request가 TCP/IP 기반이다. 이러한 경우는 Session에 대한 유지가 되지 않고 연결을 끊어버린다. 서버에서 Session을 유지하는 것을 감당하기 힘들기 때문인데, 메일 같은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로그인이 유지 되어 있어야 받을 수 있다. 그렇기에 메일의 경우 다시 로그인을 하도록 요구하거나 메일을 바로 확인 할 수 있게 한다. 전자의 경우는 시간에 대한 설정이 되어있어 그 시간이 지나는 경우 세션이 끊기기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이러한 것을 세션, 쿠키를 사용하여 로그인에 대한 유지를 한다.
하지만 채팅 같은 경우 세션이 유지된 상태로 지속적으로 내용을 주고 받으며 패킷에 대한 손실이 일어나서는 안되기 때문에 TCP/IP를 사용한다.
쿠키 : 웹브라우저에 유저에 대한 정보를 심어넣는 것
세션 : 서버에 심는 쿠키, 연결성 유지를 위하여 유저정보를 서버에 넣어둔다.
'IT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비 스프링 - 패턴, 객체 지향 (0) | 2019.10.12 |
---|---|
인터셉터 (0) | 2019.08.27 |
Day22 (0) | 2019.08.23 |
정적 리소스, 동적리소스 (0) | 2019.08.22 |
페이징 처리 (0) | 2019.08.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