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23

게시판 설계 1. 데이터 베이스 설계 : 댓글 표현위해 3가지 작성(원글 번호, 가로 - 원글에 대한 인덴트, 세로 - 원글에 대한 뎁스를 표현) 2. 클라이언트 설계 : 아래그림 DTO(VO) = data transfer object 데이터 역시 하나의 객체이기에 Arraylist로 만들어서 가져오도록한다. 커넥션 풀(datasource) : 커넥션 객체를 서버에서 관리(톰캣에서 설정) Connection : db와 연결 PrepareStatement : 쿼리문 전송 ResultSet : 데이터를 테이블의 형태로 갖는다. public ArrayList list()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ArrayList dtos = new ArrayList(); //DB에 접근하기 위한 .. 2019. 8. 5.
form 데이터 값 검증 클라이언트 값 체크 :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해서 체크한 후 서버로 보내는 방식 Validator 인터페이스 : 상속받아 구현을 하여 서버(컨트롤러)에서 유효성검사를 사용한다. @Override public boolean supports(Class clazz)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return Student.class.isAssignableFrom(clazz); } @Override public void validate(Object obj, Errors errors)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System.out.println("validate()"); Student student = (Student) obj; String .. 2019. 8. 5.
Day10 1.RequestMapping 및 form 태그에서 get 과 post 방식 결정 속성자는? method=RequestMethod.), method=""를 사용한다. 2.get 방식과 post 방식의 차이는? get방식은 URL에 ?뒤에 정보를 담아서 보내기에 길이제한이 있어 큰데이터를 보내기 힘들다 post방식은 html 헤더에 정보를 담아 보내기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보내기도 하며 url에 노출이 되지 않는다. 3.@ModelAttribute 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커멘드객체의 경우 클래스와 같은 이름을 사용하여 객체를 생성하는 것이 일반적인 규칙인데 이에 별명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하느 어노테이션이다. 4.redirect 와 forward 의 차이는? redirect는 브라우저에서 서버에 요청을 하면.. 2019. 8. 5.
ModelAttribute @ModelAttribute : 커멘드객체의 경우 클래스와 이름이 같게 설정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에러 발생하기에 어노테이션을 이용하여 별명을 설정한다. Redirect : 해당 URL 주소를 다시 주어 브라우저 상에서 URL이 바뀌게 된다. 브라우저에서 요청이 들어오면 URL1으로 요청이 전송되고 다시 클라이언트에 요청이 들어간 후, 다른 request객체를 생성해서 URL2에 전송되고 response가 브라우저에 전송된다. Forward : request영역이기에 URL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요청이 브라우저에서 URL1로 가고 브라우저를 거치지 않고 URL2로 보낸 후 response를 클라이언트로 가져온다. 브라우저를 중간에 거치지 않으며 하나의 request로 처리한다. if(id.equal.. 2019. 8.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