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23 Day4 1.스프링에서 객체를 생성관리 하는 두 가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Xml을 이용하는 방법, java 코드를 이용하는 방법 2가지가 있다. xml은 직접 빈을 생성하고 값을 입력해주는 방식이고 자바소스파일 spring에서 어노테이션을 활용하여 작성하면 xml파일로 변환하여 bean을 관리해준다. 2.스프링에서 java소스파일을 활용하여, 객체를 어떻게 생성하는지 설명하시오. @Configuration을 사용한후 @Bean을 사용하여 객체 생성하고 return 타입을 지정해준 후 xml파일로 변환되어 함수명은 id로 지정되며 bean을 관리함으로써 객체를 생성해준다. 3.xml 과 java소스파일을 활용하여 객체 생성시, Ioc 컨테이너는 어떤 컨테이너를 쓰는지 적으시오. xml 사용시 : Abstra.. 2019. 7. 26. javaconfig이용 @Bean = 함수명 = id 2019. 7. 25. c: p: c: p: 을통해 생성자와 property 생성가능 2019. 7. 25. Day3 1. interface 와 일반 class의 차이는? 미완성 메서드를 가지고 있으며, 미완성 메서드를 자손에서 반드시 모두 구현시키도록 한다. 또한 다중 상속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interface는 선언은 있지만 구현내용이 없다. 자손이 구현하도록한다 = 함수 오버라이딩(상속에 의해 생김) 2. interface 안에 올수 있는 내용은? public static final이 붙은 상수, 미완성 메서드 (static final : 상수 final : 초기화 한번만 가능) 3. abstract의 의미는 무엇이며, 어디에 어떤의미로 쓰이는가? 추상의 의미이며 자손에서 이를 구현하여 abstract 클래스나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며, 메서드를 반드시 완성시키도록하는 강제성을 갖는다. abstract의 경.. 2019. 7. 25. 이전 1 ··· 57 58 59 60 61 62 63 ··· 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