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321 한글 처리 web.xml encodingFilter org.springframework.web.filter.CharacterEncodingFilter encoding UTF-8 forceEncoding true encodingFilter /* 2019. 7. 31. Day7 1.pom.xml 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빌드툴인 메이븐을 사용하기 위한 설정파일로서 외부 라이브러리를 자동으로 관리해준다. 2.web.xml 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클라이언트에서 들어온 요청에 대해 처음으로 받는 클래스로서 HttpServlet 기반 클래스를 상속받는 DispatcherServlet의 객체를 생성한다. parameter를 해석하기 위해 IoC컨테이너를 생성하며, 어떠한 서블릿을 배포할지 해당 서블릿이 어떠한 URL에 매핑되는지에 대한 설정을하는 파일 한글 설정에도 관여 sessiontime도 가능하지만 톰캣에서도 설정이 가능하다. 3.servlet-*.xml 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root-context.xml은 bean생성에 관련된 설정을 하며, servlet-contex.xml은 C.. 2019. 7. 31. 테이블 전체 삭제 SELECT 'DROP TABLE ' || object_name || ' CASCADE CONSTRAINTS;' FROM user_objects WHERE object_type = 'TABLE'; 위의 코드를 실행 후 생성된커리 전체 복사 한 다음 F5 2019. 7. 30. MVC MVC1과 MVC2의 차이 MVC1은 JSP에 모든것을 담은것 MVC2 3가지로 나눠서 프로그래밍 한 것. Model, View(JSP), Controller web에서 요청(Request)은 url, ip, id, pw, 쿠키 등이 온다. DispatcherServlet이 스프링 컨테이너를 생성한다. 클라이어트에서 요청이 들어오면 DispatcherServlet(객체)이 HandlerMapping으로 정보를 보내고 요청에 맞는 Cotroller를 찾고 HandlerAdapter에서 Controller안에 있는 해당 함수를 실행 시킨다. Controller, ViewResolver를 통해 View에 정보를 제공하고 클라이언트에 다시 요청을 보낸다. MVC생성시 3번째 들어가는것이 Context 톰캣이 관.. 2019. 7. 30. 이전 1 ··· 54 55 56 57 58 59 60 ··· 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