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22

조건문 if문 : 만일 조건식이 참이면 {}안의 문장들을 수행하라는 의미를 갖는다. if(조건식) { //조건식이 참일때 수행될 문장 } if-else문 : if문에 거짓일때 추가로 수행될 문장을 설정한다. if(조건식) { //조건식이 참(0)이 아닌값 } else if (조건식2){ //조건식 2의 연산결과가 참일 때 수행될 문장들을 적는다. } else{ 위의 어느 조건식도 만족하지 않을 때 수행될 문장을 적는다. } 중첩 if문 : if문의 블럭내에 다른 if문을 포함시키는 것 if(조건식){ //조건식1의 연산결과가 true일 때 수행될 문장들을 적는다. if(조건식2) { //조건식1과 조건식2가 모두 true일 때 수행될 문장들 }else{ //조건식1이 true이고 조건식2가 false일때 사용될.. 2019. 6. 17.
연산자 연산자 :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 -, *, / 등)이며 연산자는 피연산자로 연산을 수행하고 나면 항상 결과 값을 반환. 피연산자 : 연산자의 작업대상(변수, 상수, 리터럴, 수식) evaluation : 연산자를 사용할 때, 식을 평가하지 않으면 결과는 얻었지만, 값은 어디에도 쓰이지 않고 사라지게 된다. 단항연산자(ex. ++, --, +, -, ~, !, (type))와 대입연산자(ex. =, +=, 2진수로 표현시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조건연산자 조선식 ? 식1 : 식2 : 형태인데 조건식이 참이면 식1이나오고 거짓이면 식 2가 출력되는 형태이다. 대입연산자 = op= 변수와 같은 저장공간에 값 또는 수식의 연산결과를 저장하는데 사용 복합 대입 연산자 대입연산자는 다른 .. 2019. 6. 16.
형변환 형변환 : 변수 또는 상수의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환 하는 것 형변환 방법 : (타입)피연산자 자동형변환 : 기존의 값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는 타입으로 컴파일러가 형변환을 추가하여 자동형 변환이 이루어진다. boolean을 제외한 나머지 7개의 기본형은 서로 형변환이 가능하다. 기본형과 참조형은 서로 형변환 할 수 없다. 서로 다른 타입의 변수간의 연산은 형변환을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값의 범위가 작은 타입에서 큰타입으로의 형변환은 생략 될 수 있다. 2019. 6. 15.
bit 1bit 컴퓨터가 값을 저장할 수 있는 최소한의 단위이다. 1byte에는 8bit가 들어가게된다. n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10진수 값의 갯수 : 2^n 값의 범위 : 0 ~ 2^(n-1) 2019. 6.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