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22 React 개요 react : 자바 스크립트 라이브러리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드는데 사용한다. 오직 View만 신경쓰는 라이브러리. 컴포넌트 : 특정 부분이 어떻게 생길지 정하는 선언체, 재사용이 가능한 API로 수많은 기능들을 내장하고 있으며, 컴포넌트 하나에서 해당 컴포넌트의 생김새와 작동 방식을 정의한다. 렌더링 : 사용자 화면에 뷰를 보여주는 것 초기 렌더링 : 어떤 UI 관련 프레임워크,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든지 간에 맨 처음 어떻게 보일지를 정하는 초기 렌더링이 필요하다. 리액트에서는 render 함수를 통해 다룬다. render() {...} render() 함수는 컴포넌트가 어떻게 생겼는지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컴포넌트 내부에는 또다른 컴포넌트들이 들어갈 수 있으며, 이때 render() 함수를 실행하면.. 2019. 10. 21. 토비 스프링 - 템플릿 개방 폐쇄 원칙(OCP) : 객체 지향 설계의 핵심 원칙이며, 코드에서 어떤 부분은 변경을 통해 그 기능이 다양해지고 확정하려는 성질이 잇고, 어떤 부분은 고정되어 있고 변하지 않으려는 성질이 있음을 말한다. 템플릿 : 바뀌는 성질이 다른 코드 중에서 변경이 거의 일어나지 않으며 일정한 패턴으로 유지되는 특성을 가진 부분을 자유롭게 변경되는 성질을 가진 부분으로 독립시켜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 리소스 반환과 close() Connection이나 PreparedStatement에는 close() 메서드가 존재하며, 만들어진 것을 종료하는 의미보다는 리소스를 반환한다는 의미로 주로 사용된다. Connection이나 PreparedStatement는 보통 pool 방식으로 운영되며, 미리 정해진 .. 2019. 10. 20. 토비 스프링 - 학습 테스트, 버그 테스트 학습 테스트 : 자신이 만들지 않은 프레임 워크나 다른 개발팀에서 만들어 제공한 라이브러리 등에 대해서도 테스트를 작성해야 하며 이런 테스트를 학습 테스트라 한다. 목적은 자신이 사용할 API나 프레임워크의 기능을 테스트로 보면서 사용방법을 익히는 것. 검증이 목적이 아니다. 학습 테스트 장점 다양한 조건에 따른 기능을 손쉽게 확인해볼 수 있다. 학습 테스트 코드를 개발 중에 참고 할 수 있다. 프레임워크나 제품을 업그레이드 할 때 호환성 검증을 도와준다. 테스트 작성에 좋은 훈련이 된다. 버그 테스트 : 코드에 오류가 있을 때 그 오류를 가장 잘 드러내줄 수 있는 테스트, 버그 테스트는 버그가 원인이 되어서 테스트가 실패하는 코드를 만들고 나서 버그 테스트가 성공할 수 있도록 코드를 수정하여 성공한다면.. 2019. 10. 20. 토비 스프링 - @Autowired @Autowired : 스프링의 DI에 사용되는 어노테이션 @Autowired가 붙은 인스턴스 변수가 있으면, 테스트 컨텍스트 프레임워크는 변수타입과 일치하는 컨텍스트 내의 빈을 찾으며, 타입이 일치하는 빈이 있으면 인스턴스 변수에 주입해준다. 일반적으로는 주입을 위해서는 생성자나 setter 메소드 같은 메소드가 필요하지만, 이경우에는 메소드가 없어도 주입이 가능하며, 별도의 DI 설정 없이 필드의 타입 정보를 이용해 빈을 자동으로 가져올 수 있는데, 이러한 방법을 타입에 의한 자동와이어링이라 한다. ApplicationContext는 xml에 정의된 빈이 아닌데도 @Autowired를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가 DI가 된다. 스프리 어클리케이션 컨텍스트는 초기화 시에 자기 자신도 빈으로 등록하기에.. 2019. 10. 19. 이전 1 ··· 42 43 44 45 46 47 48 ··· 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