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22

토비 스프링 - 테스트 웹을 통핸 테스트 문제점 : 서비스, 컨트롤러, 뷰 등이 완성되고 나서야 테스트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 작은 단위의 테스트 (unit 테스트, 단위 테스트) 테스트하려는 대상이 명확하다면, 그 대상에만 집중해서 테스트하는 것이 좋다. 관심사의 분리라는 원리를 적용하여 가능한 적은 단위로 쪼개서 테스트 하는 것이 좋다. JUnit : 프레임워크이기에 개발자가 만든 클래스에 대해 제어 권한을 넘겨 받아 주도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의 흐름을 제어한다. 그렇기에 main메서드는 제어권을 직접 갖는다는 의미이기에 테스트 코드를 일반메소드로 정의해야한다. JUnit이 요구하는 두가지 조건중 첫째는, 메소드가 public으로 선언돼야 하는 것이며, 다른 하난느 메소드에 @Test라는 어노테이션을 붙어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 2019. 10. 19.
REST API Res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 HTTP기반으로 필요한 resource에 접근하는 방식을 정해 놓은 아키텍쳐 resource이란 저장된 데이터, 이미지/ 동영상/문서 등과 같은 파일, 서비스(이메일 전송, 푸쉬 메세지 등)을 포함 REST API : REST를 통해 서비스 API를 구현 REST 속성 서버에 있는 모든 resource는 각 resource 당 클라이언트가 바로 접근 할 수 있는 고유 URI가 존재 모든 요청은 클라이언트가 요청할 때마다 필요한 정보를 주기 때문에 서버에서는 세션 정보를 보관할 필요가 없다. 이에 서비스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유연한 아키텍쳐 적응이 가능 HTTP 메소드를 사용한다. 모든 resource는 일반적으로 HTTP 인터페이스인 GET, .. 2019. 10. 15.
토비 스프링 - XML 이용한 설정 XML: 텍스트 파일이기에 다루기 쉬우며,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컴파일과 가튼 별도의 빌드 작업도 존재하지 않으며, 오브젝트의 관계가 바뀌는 경우에도 빠르게 변경사하을 반영하는 것이 가능. @Configuration 은 @Bean 은 빈이 이름 : @Bean 메소드 이름이 빈의 이름, getBean()에서 사용된다. 빈의 클래스 : 빈오브젝트를 어떤 클래스를 이용해서 만들지를 정의한다. 빈의 의존 오브젝트 : 빈의 생성자나 setter메소드를 통해 의존 오브젝트를 넣어주며, 의존 오브젝트도 하나의 빈이기에 이름이 있고, 그 이름에 해당하는 메소드를 호출해서 의존 오브젝트들을 가져온다. 더 이상 의존하고 있는 오브젝트가 없는 경우 생략 가능 빈 설정 파일 자바코드 설정정보 @Configuration XM.. 2019. 10. 14.
토비 스프링 - 의존관계 주입 Dependency Injection : 오브젝트 레퍼런스를 외부로부터 제공받아 이를 다른 오브젝트와 다이나믹하게 의존관계를 만들어주는 것, 인터페이스를 통해 의존관계를 제한하여 변경에 자유로워 질 수 있다. 의존관계 주입은 세가지 조건을 충족해야한다. 클래스 모델이나 코드에는 런타임 시점의 의존관계가 드러나지 않는다. 그러기 위해서는 인터페이스에 의존하고 있어야한다. 런타임 시점의 의존관계는 컨테이너나 팩토리 같은 제 3의 존재가 결정한다. 의존관계는 사용할 오브젝트에 대한 레퍼런스를 외부에서 제공해 줌으로써 만들어진다. 의존 오브젝트 : 오브젝트가 만들어지고 런타임시에 의존관계를 맺는 대상 DI를 원하는 오브젝트는 먼저 자신이 컨테이너가 관리하는 빈이 되어야한다. DI의 장점은 관심사의 분리를 통해 .. 2019. 10. 13.